Dr.부동산

[시장분석론] 0507 소매점 입지 및 시장경쟁 본문

부동산정책/부동산시장분석론

[시장분석론] 0507 소매점 입지 및 시장경쟁

anony mous 2019. 5. 7. 16:26

기업입지의 경우
- 도심에서 벗어난 곳에 존재한다. 
- 산업혁명의 발전으로 도심까지의 교통비용 절감, 외곽토지의 저렴한 활용

소매입지 이슈 
- 취급상품에 따른 분포의 위계(hierarchy)가 존재


소매입지이론
고전적 소매경쟁 이론 - 한번 쇼핑하러갈때 1개의 물품을 산다는 가정, 가격과 위치 측면에서의 경쟁
신고전 소매경쟁 이론 - 소매점포의 유인력(drawing power)과 잠재 매출액 분석

소매점입지및시장경쟁_20190505.pdf
0.36MB

1. 이론적 근거 
CC = 구입비용 + 교통비용 + 저장비용 

∂CC / v* = k + iPu/2(-1/v2) = 0이다. 
1년간 물건을 구입해서 사용하는 비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v = (iPu/2k)^(1/2)이된다. 

2. 점포 밀도와 소비자 구매행태
표 6.2 분석 

3. 상품과 구매빈도 
소매점포의 분포
- 점포에서 가격 결정시, 소비자가 얼마나 시간을 들여서 점포를 방문하는지 여행(교통)비용에 따라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함. 
- 교통 비용에 대한 보상 = 할인점의 물건이 싼 이유 
- 소매점포는 고정운영비용이 발생한다. 

4. 고전적 소매업 경쟁이론
그림 6.5 
- 점포들이 분포하는 점간의 거리가 D이다. D는 외생적으로 주어진 변수가 아니라, 소매 점포들끼리 경쟁에 의해서 결정되는 값이다. 
- 점포에서 물건에 대한 가격 P는 2가지의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도매가격과 점포운영비용. 

- 소비자들이 점포까지 올때 생기는 교통비용은 t * K 이다. 
- 만약 소비자가 경쟁점포에서 물건을 산다고 할때, 총 비용은 P0 + k * (D-t) 이다. 
- 분석 대상 상점 : P + kt
- 경쟁 상점 : Po + (D-t)k 
- 식6.3 / 시장 관할지역 P + kt = Po + (D-t)k  ---> T =( P-Po+Dk )/ 2k 

- 식6.4 / 마켓 바운더리에서 판매할 수 있는 상품의 총 판매량(S)는 ?  S = 2T*F*u 이다. 
   > 소비자가 몇번 쇼핑하는지(u) 
   > 소비자의 수는 ?  (ex. Km당 F명의 가구들이 거주 = km당 F )
   > 시장관할지역 (T)
- 이때, T를 대압하여 풀면 2TFv는  ( Po - P + Dk / k ) * F * u 가 된다. 
- 상품가격(P) -> 이윤극대화 
  > 이윤 = 총수입(P*S) - 고정비용(c) - 도매비용 (mc*s)  = ( P - mc ) s - C 이므로 
  > 이윤 비용 그래프에서 이윤을 가장 크게 만드는 가격이 존재한다. d이윤/d비용 = 0 인 지점이 P*이다. 
 - P = kD + mC 에서 T = D/2가 되고, S = D*u*F가 된다. 
  > P는 도매가격에 추가적 금액을 붙여서 마켓에서 파는데, K교통비용과 D상점간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장기균형 개념
- long run / short run : 장단기 구분을 하는 지점은 이윤의 관점에서 본다면 만약, 어느 지역에 상점의 +이윤이 생기는 경우 신규업체가 진입하는데, 장기적으로 새로운 기업의 진입과 탈퇴가 반복 이루어지면서 균형점을 찾는 상태. 즉, 기업의 이윤이 0이 될때를 말한다. 
- 장기균형에서는 단기에 결정되는 가격, 단기 초과 이익이나 손실에 따른 새로운 상점의 진입, 기존 기업의 탈퇴로 인한 0이 되는지점. 식6.5에서 0이 되는 P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 P - mc ) F [ (P - Po + kD ) / k ] - C 에서 0인 지점을 찾으면 (조건 Po = P. 이윤 = 0 인지점) 균형점을 찾을 수 있다. 
  > D = ( C / kvF )^1/2 ,  P = mc + ( kC / vF ) ^1/2 로 볼 수 있다. 
  > 보다 빈번하게 구입되는 경우, k거리가 좁아질 수록 어떻게 변하는가?  
  > k가 높아질 수록 P 증가, D 증가 
  > u가 높아질 수록 P 감소, D 감소 

5. 신고전학파 소매점포이론 
1) 합동쇼핑 
 - 전통적 이론과 달리 한번 쇼핑에 여러 상품을 구매
 - 코엑스 스타필드와 같은 대형몰의 상점들이나, 을지로에 인쇄소들, 충무로의 애견샵 등의 점포 밀집지역

2) 개별점포에 대한 수요  
 - 쇼핑몰에 고객들이 방문할 확률 * 개별 상점구매 확률 = 수요 
 - 개별 상점에 올 확률은 무엇에 의해 결정 되는가? 
   > 쇼핑센터의 구성에 따라 다르다. 상품의 숫자와 적절성이 가능성을 높인다. 
   > 상점에 방문할때 편리성도 영향을 미친다. 
- 상점의 임대차구조와 가격이라는 두가지 측면을 생각한다. 

3) 점포혼합과 쇼핑센터 임대차 
* 임대료 구조 논문 테마로 박사졸업한 최근 졸업자도 있다. 
- 임대료구조 :
 > 기본임대료(일정금액)
 > 기본임대료 + 초과임대료(매출액연동) 
 > Ex. 쇼핑몰에서 공실이 발생할 경우 입점을 새로 시켜야 하는데, 높은 임대료를 내려는 사람에게 입점 기회가 주어짐. 
    주변에 있는 상점에 대해 덕을 볼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기본임대료를 받지만,  
    다른 상점과 어울리는 긍정적 영향을 줄 입점자인지 파악하게 되면, 초과임대료를 받으려 할 것이다. 
    그래서 관리주체입장에서 테넌트 MIX가 중요하다.  
- 앵커테넌트, 쇼핑몰에 오는 수요를 좌우하는 테넌트. 집객능력이 큰 경우 기본임대료를 할인 해준다. 
- 임대료 구조에 따라 상품, 상점의 조합이 중요해진다. 어떤 상점을 입점시키냐에 성공여부가 따라 달라지기 때문

4) 백화점과 가격조정 
- 상점간 상호의존성이 있다. 특별한 상점에서 sale을 하게 되면, 그 물건만 사는 것이 아니라 주변 상점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 Sale을 하는 상점에서 주변상점에게 이윤을 가져다 주기위한 것이 아님에도 긍정적이 외부효과가 존재하게 된다. 
- 상점들이 개별 주체일 경우와 동일 주체의 소유일 경우 긍정적 효과에 대한 입장이 다르다. 누군가에 의해 단일화 되었을 때 소유자 입장에서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백화점이다. 1년 내내 세일을 함으로써 사람들을 끌어 모으고, 세일하는상품이 다른 상품에 대한 매출을 늘리고 이익을 모두 가져갈 수 있는 구조를 만든다. ( 소유주체 다변화 = 신촌역 몰 )
- 쇼핑몰이 수요주체가 단일화 하게 되면 상품에 대한 가격 조정과 고객 유인 전략을 쓸수 있다. 

6. 쇼핑센터 수요추정모형 
스타벅스가 어느 지역을 출점할지 결정할때 무엇을 해야하는가?
주택 수요이론에서 다양한 선택 대안이 있을때 선택의 어려움. 특정 상품에 대해서 브랜드의 선택의 어려움 등이 있다. 다양한 대안들 중에서 무엇을 선택하는가? 이 중심에는 어떤 쇼핑센터를 방문했을때 가장 큰 만족감을 얻는지 효용이론에 대해 의사결정을 한다. 
 > 영향요인들


1) 소비자 효용함수
- 식6.11/ i지역에 살고 있는 j소득계층의 가구가 k에서 쇼핑을 하는 경우 얻게 된 효용을 함수로 정의 했다. 
  > 쇼핑센터까지의 교통비용 
  > 쇼핑센터 k가 가지고 있는 특성 : 매장특성, 구성, 주차대수 등에 대한 평가 
  > 교통비용에 대한 평가 aj (-비용)
  > L이라고 하는 것은 헤도닉에서 주택의 가치와 특성을 놓고 회귀분석을 해서 주택의 특성별 소비자가 평가하는 가치를 뽑아내듯이 비슷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 이러한 효용함수가 각각의 쇼핑센터 별 나름의 

2) 특정센터 선택확률 설정 
- 특정 센터에 대한 효용수준, 측정 변수를 이용하여 확률 모형을 추정하면 된다. 잠재고객수를 곱하면 방문고객 수를 측정. 
- 여러 대안중에 하나를 파악하는 '다중로짓모형'처럼 j라는 소득 계층이 k라는 쇼핑센터를 방문할 확률은 각각 쇼핑센터를 방문해서 얻게 되는 효용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택된 쇼핑센터의 효용으로 결정된다.  
- 추정된 확률을 바탕으로 얼만큼의 고객이 오는지 파악한다. 

3) 총 방문고객 수 
- 예상 매출액과 들어가는 비용을 고려하여 입지를 선택할 수 있다. 
- 표 6.4 추정결과 : 저소득층은 교통비용을 높은 비중으로, 고소득층은 낮은 비중으로 평가했다. 
  > 쇼핑센터의 특성들과 크기 
  > 쇼핑센터에 입지한 할인점의 수가 많고, 주차비용이 낮은 경우에 저소득층에서 방문 확률이 높다. 
  > 백화점의 수, 주차장의 수는 고소득층이 방문할 확률이 높게 나온다. 
 * 단, 위에서 추정계수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주지 않고 있기 때문에 모든 추정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가정을 가지고 본다. 
- 자료를 구하려면 쇼핑센터 구성인을 파악하여야 하고, 교통비용은 설문을 해야 됨. 

다음시간 - 기업입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