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부동산
[프롭테크] 0326 교통혁명 본문
자율주행차
- 실제 상용화
이동수단의 진화
- GM 사장 " 자동차, 지난 50년보다 향후 5년 변화 더 크다"
- 차량공유, 탑승공유, 전기자동차, 자율 주행차
미래형 자동차의 의미
- 현재의 자동차에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통신 및 보안, 센서/항법 기술등 산업간 융합기술을 접목하여 이동형 생활공간으로 발전된 자동차
- 개발전략은 CASE
자율주행차 분류
- LEVEL 5까지 있다. level 2까지는 기계와 센서를 통해 움직이지만, 그 이후로는 소프트웨어와 통신기능이 중요하다.
- Waymo : 초기 사용자 200명 가량 활용. 데이터 습득을 통해 자동차회사의 선두가 될 듯.
- NVIDIA의 인공지능 : deep learning perception 기술 사용.
자동차 기업과 IT기업간 사업경계를 뛰어넘는 대규모 인수합병이 진행중이다.
- 전기를 소모하는 전력구동, 전자장비가 시스템
- 글로벌 업체의 인수 인수
*안전하지만은 않은 자율주행차
Personal Mobility
MaaS
이동수단과 부동산
- 주차감소, 입지와 가시성 등
주차장의 변화
- 탑승공유의 증가로 주차수요 감소 ( 최대 주차장 90%가 타용도 가능)
입지
접근성
- 카카오택시
- 자율주행 자동차
시인성
- 간판없는 빵집, 서강대 오엔 등
음식배달 서비스
- 배민 라이더스 : 월 1000만건 가량
- 신개념 비즈니스, 15조원 음식배달 시장
- 공유 주방
- 피자로봇
입지의 양극화
- 사람이 몰리는 곳 / 후미진 곳이라도 찾아가는데 어려움이 없다.
- 버스 지하철 택시 이외에 다른 대안들이 생긴다.
수요의 양극화
- 좋은 위치 + 좋은 건물
몰림과 쏠림
- 역세권의 범위
- 온라인을 통한 정보의 비대칭성
- 온라인으로 사람 끌기 : Korilla BBQ (트위터), Pocketmon Go (포세권)
O2O시대의 새로운 임대료 산정/가치평가
- 공유경제를 통한 고효율 + 온라인을 통한 집객효과 = 임대료 지불 의향 천차만별
예전에는 원가법, 비교사례법, 수익환원법 중심이었으나 수요와 공급에 의한 최고입지 쏠림 양극화
시간과 공간의 개념변화 : 시간의 가치
Value of Time
시카고-뉴욕의 선물시장 1 ms를 줄이기 위한 노력
출퇴근 수단의 변화
- 이동거리
- 이동시간/비용
- 출퇴근 시간 : 250일 2시간 -> 250일 1시간
- 출퇴근 비용 : 기회비용 1000만원 + 교통비용 150만원
거리의 변화 : 서울 -> 잠실역, 강남역, 부산역 -> 정자역, 뉴욕
빨대효과 : 교통이 발달할 수록 비교우위의 시설들로 몰리게 된다. ( 지방의 피부과 -> 서울의 피부과, 노량진 수산물 -> 부산 수산물 )
자전거/보행자 환경 중시
공간과 이동의 융합
: 플랫폼 비즈니스 + 모듈화 + E-Commerce / Proof of Concept
Utility of Transportaiton ( 교통의 효용 )
- Place 제자리에 무엇인가가 있기 위한 것 : Transprotation 교통
- Time 제때에 필요한 개념 : Transport & Inventory
- Possession 소유
Economics of Transportation
'프롭테크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롭테크] 0416 VR/AR/IoT 디지털기술 (0) | 2019.04.16 |
---|---|
[프롭테크] 0409 무인자동화, 로봇 (0) | 2019.04.09 |
[프롭테크] 0402 스마트물류와 리테일의 변화 (0) | 2019.04.02 |
[프롭테크] 0319 공유경제와 공간서비스 (0) | 2019.03.19 |
[프롭테크] 0312 4차산업혁명과 부동산 (0) | 2019.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