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부동산금융투자 (64)
Dr.부동산
1교시 표본추출의 의의 조사대상을 정했다. 표본을 조사하면 만족도가 나온다. 이것들을 통계량으로 부른다. 평균 5정도가 나왔어도 문제 있을꺼야 이런 식으로 추론을 하던지 5.5정도로 보면서 만족도가 높을 것으로 가설을 세울 수도 있다. 표본조사는 왜하나? 이런 형태가 되면 조사대상 자체가 오염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런 측면에서 표본조사를 쓰는 경우가 꽤 있겠다. 전수조사 ? 몇년에 한번씩 하는 조사. 추계를 내고, 갑자기 느는 경우를 파악하기도 한다. 반도체기업 등표본은 워낙 편차가 커서 표본을 잘못 뽑을 가능성이 있을때 전수조사를 생각해볼 수 있다. 사람들은 전수조사를 하면 무조껀 정확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답을 할때 오류가 생길 수 도 있는 것이다. 측정이나 기록 오차가 작을 수록 전수조사가..
설문지의 의의 - 응답자로부터 정보를 얻기 위한 구조화된 설문들의 집합 일상적인 설문지 -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은 설문지를 만들어 놓으면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을 하면 된다는 것인데, 설문 할때부터 분석 방법을 먼저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설문을 만들고 나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설문을 만들때부터 이미 분석 방법론은 정해져 있는 것이다. 설문지의 설계과정 - 단계별 과정 : 1-2단계를 먼저 전제로 띄워 놓고, 3단계부터 꼭 설문에 넣어야 할 것을 넣는다. 사람들이 답해줄 수 있는 것인지, 설문의 문답 형태, 설문형태, 구조 형태 등을 만들고 문구를 다듬는 작업을 한다. 그렇게 되면 설문 하나가 만들어 진다. 6단계까지 설문이 만들어지게 되면, 어떻게 배열하고 형식과 레이아웃을 확정한 뒤 인쇄를 한..
보강안내 : 11월 6-7일 (화수) - 캐빈정 윤리센터 세미나 / 11월6일 오후 1시-4시 /부동산학관 103호 - 피데스 부동산개발 센터 사례발표 / 11월 6일 오후 4시-6시 / 103호 - 부대원 저녁세미나 / 박원순 서울 시장(미정), 화요일 시간 미정 참고 - 10/3개천절, 10/9 한글날 측정의 기본 개념들 측정 : 조사할때마다 체크하고 숫자로 만들어야 한다. 설문지는 기본적으로 알고싶은 것을 측정하려고 만든다. 측정의 문제다. 자료수집을 해야하기 때문. 어떤 규칙에 따라 대상, 사람들, 사건들의 특성, 숫자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파트가 중요한게 아니라 숫자. 개념적정의 : 단어의 뜻에 대한 정의가 되어 있어야 한다. 조작적정의 : 정의를 알면 어떻게 측정하나? 한번 더 정의 할..
1교시 보고서 내용 : 업계 - 시장조사, 타당성 조사 - 재평가 / 연구소 - 등등 제출 : 원본과 레포트 - 이메일로 보냄 - 답장을 받으면 제출 완료됨. 분량은 ? 기본적으로 써야할 분량 날짜는 12월쯤 기말고사 전후 ****중간고사는 안보지만 수업은 한다고 하십니다. 과제는 쓰여진 보고서(시장조사보고서, 연구용역보고서등)를 평가한 후, 재조사하여 분석하고 개선사항을 제안하고 재평가하는 것을 12월 기말고사 전후로 마쳐야 한다고 합니다. 일차자료조사의 유형 정성적 조사 - 유형, 직접법, 간접법 : 질적인 자료. 보고서를 무엇을 쓰는가? - 주요분석 방법은 내용분석을 많이 쓴다. 경영학과에서는 컨텐츠분석을 쓴다. - 일반적인 일차자료조사 수집시 정성적 -> 정량적 조사로 간다. 정량적 조사의 서브조..